분류 전체보기3302 Reader's Digest의 윌리스 부부의 이야기 DdooSiKkoongYa 2008. 7. 16. 포지셔닝이 안되어 있다면 아무도 당신을 기억하지 않는다 세계에서 제일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이다. 그러면 두 번째로 높은 산은 어디일까? 그것이 K2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또한 달나라에 처음 간 사람은 닐 암스트롱이라는 것쯤은 상식이지만 두 번째로 간 사람은 누군지 잘 모를 것이다. 설사 더 좋은 우주선으로, 더 나은 기술로 갔다 하더라도 사.. 2008. 7. 16. "이봐요, 여기 좀 보세요" 1930년대의 전화기 핸드폰이 울리면 누구나 하는 첫 응답이 바로 "여보세요?" 입니다 그 말을 풀이해보면 '이봐요, 여기 좀 보세요'하는 뜻이 된다 전화를 받자마자 "이봐요, 여기 좀 보세요"하고 응답한다면 좀 황당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 왜 전화를 받을 때의 첫마디가 '여보세요?"로 통용되었을까? 1896.. 2008. 7. 16. 기이한 다채색 줄무늬 빙산들 기이한 다채색 줄무늬 빙산들 남극해에서 이따금씩 기이한 형상의 빙산들이 발견되는데 그 가운데에는 다채색 줄무늬나 특이한 청색 단층 형태의 다양한 모습의 빙산들이 있어 호기심을 끈다. 푸른색 줄무늬는 가끔 갈라진 빙산 사이에 바닷물이 차면서 급속히 얼어 얼음에 기포가 생기지 않을 때 만.. 2008. 7. 15. 벌레들이 초목을 전화기로 사용한다 벌레들이 초목을 전화기로 사용한다 최근 네덜란드 생태학 연구소 과학자들이 지상과 지하에 사는 벌레들이 초목들을 화학적인 통신 장비로 사용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규명해 화제가 됐다. 생태학자 로지나 솔러가 이끄는 연구팀 보고에 따르면 나뭇잎을 갉아먹는 벌레들은 다른 벌레들이 자기 나무.. 2008. 7. 15. 민간외교관 ‘태권도’에 큰 박수를 [특파원 칼럼/공종식]민간외교관 ‘태권도’에 큰 박수를 미국 곳곳을 다닐 때마다 자주 눈길을 끌었던 간판 중 하나가 ‘태권도(TAEKWONDO)’였다. 언젠가는 한국으로 치면 면 단위 정도로 보이는 아이오와 주의 한 작은 도시를 지나다가‘태권도’ 간판을 보고 ‘이런 시골에서 운영이 제대로 될까’.. 2008. 7. 15. 48장 패에 담긴 ‘화투의 비밀’ 48장 패에 담긴 ‘화투의 비밀’ “쓰리고에 웃고… 피박·광박에 울고…” 김덕수 공주대학교 사범대 교수의 논문 한 편이 화제다. 화투에 대해 연구·분석한 자료가 그것이다. 최근 이 논문이 인터넷에 공개되면서 누리꾼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김 교수는 강한 왜색을 지닌 화투 패를 조명, 일.. 2008. 7. 15. 조선시대 형벌의 종류 조선시대 형벌의 종류 1.묵형(墨刑) 묵형은 이마나 얼굴에다 문신을 새기는 형벌이다. 연산조에는 건물을 중수하다 도망친 인부들이나, 도망친 노비에게 묵형을 내렸다. 또 중국에서도 이 형벌이 있었는데, 두가지 공통점은 죄를 지은 사람들에게 내리는 것이고, 문신을 할때 죄목을 새겨 물신을 하도록 했다. 초한지에도 이 형벌을 받은 영포장군이 있다. 젊었을때 죄를 지어 묵형을 받은 것이 남아있어 경포라고도 부른다. 무예가 뛰어난 맹장이다. 이 묵형은 21대 영조때까지 계속되다가 영조대에 이르러 없어지게 되었다. 2.태형(笞刑) 태형은 도둑, 절도등 비교적 가벼운죄를 지은 범인들에게 내리는 벌인데, 죄인의 볼기를 치는 것이다. 죄의 경중에 따라 치는 댓수가 달라졌다. 태형은 보통 10대, 20대, 30대, 40대.. 2008. 7. 15. 노루귀꽃의 전설 노루귀꽃 60년만에 피는 노루귀꽃 보는사람에게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전설의 꽃 옛날, 산골에 함평 이씨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집이 무척이나 가난해, 나무를 해서 팔아 겨우 연명하였습니다. 하루는 산에서 나무를 하고 있노라니까, 커다란 노루 한마리가 달려와, 그가 해놓은 나무더미 속으로 들.. 2008. 7. 15. 나팔꽃의 전설 나팔꽃 옛날 중국에 그림을 잘 그리는 화공이 있었는데 부인이 미인이라 마을 원님이수청들기를 강요하자 부인이 거절하니 부인을 성에 가두었는데, 화공은 부인이 너무 보고싶어 그리워 하는 마음을 담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여보, 내 기어이 당신이 있는 높은 성에 올라가리라” 하곤 그 그림을 .. 2008. 7. 15. 목련꽃의 전설 목련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하늘나라에 사는 공주가 어느 날 우연히 북쪽에 있는 바닷가에 놀러 갔다가 그곳의 바다지기를 보고는 그만 사랑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랑의 열병에 빠져들어 자나 깨나 그리운 임 생각뿐이니 하늘나라 공주는 북쪽 바닷가만 바라보며 바다지기만을 생각했답니다. 그렇.. 2008. 7. 15. 찔레꽃의 전설 찔레꽃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등지의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 에 서식한다 크기는 1∼2m 정도에 이른다 옛날, 고려가 원나라의 지배를 받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당시 고려에서는 해마다 어여쁜 처녀들을 원나라에 바쳐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누가 오랑.. 2008. 7. 15. '털중나리'의 전설 털중나리 한 여름에 산을 오르다 보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나리들을 만나게 된다. 나리들은 그 모습이 아름다우려니와, 그 빛깔도 모두 환하다. 바라보는 그 눈길이 너무나 사랑스럽다. 주근깨투성이인 말괄량이 소녀같은 참나리를 기본으로 하여, 하늘을 바라보면 하늘나리, 땅을 바라보면 땅나.. 2008. 7. 15. [우묵배미의 사랑 외] 배우 '박중훈' 이황림 감독, 1986년 작 박중훈, 김혜수 주연 많은 배우들을 보게 되면 나름의 연기영역을 갖고 있다 아무리 팔색조니 카멜레온이니 하는 배우라 할 지라도 그 배우가 주는 느낌엔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 중 우리나라 영화에 한 줄기를 차지하고 있는 배우가 박중훈씨가 아닌가 한다 영.. 2008. 7. 15. 사물놀이 / 풍물놀이 사물놀이 사물놀이는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타악기가 서로 어울려 다양한 리듬을 연주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음악입니다. 사물놀이는 풍물놀이(농악)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장단으로는 길군악, 별거리, 달거리, 법구놀이, 쌍진풀이 등이 있습니다. 사물놀이의 장단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특징.. 2008. 7. 14. 이전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