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방/문화탐방150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처용무 외...] 1995년 '명성황후'를 보기 위해 예술의 전당을 처음 찾았던 기억이다 영화 '필라델피아'를 보면서 펑펑 울었던 기억과 함께 내 평생 공공장소에서 그렇게 소리내여 울었던 건 그때가 두 번째이지 싶다 그로부터 자그마치 26년이 흐른 오늘 다시 예술의 전당을 다른 이유로 찾았다 사실 국악엔 큰 흥미도 관심도 없던 내게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탐방을 계획하고 인류무형문화유산을 찾던 중 우연한 계기로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에서 공연이 있을 알게 되어 찾았다 세계가 인정한 우리음악이란 타이틀로 매월 1회 내용만 달리해 공연을 하는 듯하다 오늘 공연에선 종묘제례악 중 '전폐희문', '처용무', 가곡 중 '태평가',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아리랑', '강강술래' 등이 무대에 올랐다 (모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 2021. 2. 6.
[유네스코 등재 자연유산, 연천~철원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두 번째 일정으로 연천과 철원 일대의 생물권보전지역을 찾았다 먼저 눈이 온 다음 날 설경 속에서 임진강평화습지원의 두루미를 기다린 보람이 있어 많은 기대를 안고 갔으나 코로나 19와 아프리카 돼지열병 및 조류독감 등으로 검문소에서 일반인의 출입을 제지당했다 ㅠㅠ 하지만 길목의 미라클타운과 한탄강 송대소의 멋진 설경에 빠져 그만 본래의 취지를 잊고 말았다 고대산에서 바라보던 철원평야의 황금들판 못지않게 멋진 순백의 설원 또한 잊을 수 없는 그림이었다 한탄강 트래킹 코스 또한 GEO 트레일 코스라는 이름으로 예전과 달리 부교를 설치해 입장료(5,000원)을 받는다 한탄강지질공원 (hantangeopark.kr) Tammy Wynette / Stand By Your Man 2021. 2. 4.
[2021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탐방 일정] 일자 문화유산 지역 내용 12~1 1/22 왕릉 조선 왕릉 40기 1 29 궁 창덕궁 & 후원 2 4 생물권보전지역 연천~철원 습지원~주상절리 6 무형문화재 아리랑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 우면당 처용무 강강술래 종묘제례악 판소리 3 2 고인돌유적지 강화도 강화도 고인돌유적지 27 세계기록문화 훈민정음 국립중앙박물관 '문자혁명' 기획전 4 초순 인류무형문화 서천 한산모시 서천 한산모시관 & 한산모시마을 산사 마곡사 백제 역사유적지구 공주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관북리 유적 부여 부소산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나성 능산리 고분군 익산 미륵사지 익산 왕궁리유적 서원 돈암서원 중순 산사 해인사 세계기록문화 해인사장경판전 20 불국사 경주 겹벚꽃 개화시기 석굴암 말 고인돌유적지 고창 청보리축제 시기 5 2 종묘제례.. 2021. 2. 4.
3rd 버킷 리스트 '조선 왕릉 탐방' 회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으나 탐방할수록 많은 사실을 알게 되면서 탐방 전 공부도 해야했다 먼저 18개 지역에 분포된 40기의 왕릉을 편의상 권역별로 나누어 방문했다 몇차례 왕릉만을 탐방하다 보면 서로 흡사한 그림이라 재미가 반감될 수 있기에 권역별 탐방지역에 인근한 핫플레이스를 함께 방문하니 나름 알찬 일정이 될 수 있었다 권역별 탐방코스 권역 왕릉 원찰 코스 서울 정릉, 연산군묘 흥천사 북한산둘레길 18~20구간~연산군묘~정릉~흥천사 선정릉~헌인릉 봉은사 선정릉~봉은사~헌인릉 태릉, 강릉, 의릉 - 태릉~경춘선숲길~강릉~의릉~숭인원~영휘원 화성 융건릉 용주사 융건릉~용주사~독산성~세마대 고양~김포 장릉, 서삼릉, 서오릉 - 김포 장릉~행주산성~서삼릉~공양왕릉(고려)~서오릉 파주~양주 온릉, 삼릉, 장릉 .. 2021. 1. 30.
[유네스코 세계유산, 창덕궁 & 후원] 문화재청 창덕궁 http://www.cdg.go.kr http://www.cdg.go.kr www.cdg.go.kr 후원 (naver.com) 후원 창덕궁은 궁궐로서보다는 ‘비원’(秘苑)으로 익숙한 곳이다. 비원이란 창덕궁과 창경궁에 딸린 북쪽의 정원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용어는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terms.naver.com 창덕궁 내 유산 [창덕궁 인정전] 국보 제225호(1985.01.08 지정) [창덕궁 낙선재] 보물 제1764호(2012.03.02 지정) [창덕궁 부용정] 보물 제1763호(2012.03.02 지정) [창덕궁 돈화문] 보물 제383호(1963.01.21 지정) [창덕궁 인정문] 보물 제813호(1985.01.08 지정) [창덕궁 선정전] 보물 제814호.. 2021. 1. 29.
1/21 [조선 왕릉 탐방 / 영월 장릉, 청령포, 보덕사 ⑫] 장릉→청령포→보덕사→선돌→한반도지형→요선암돌개구멍 시작은 가볍게 생각했으나 조선 왕릉 40기 중 마지막 장릉에 이르는 동안 나름 많은 사실을 알게되어 참으로 유익한 일정이었다는 생각이다 장릉 / 조선 6대 단종의 능 조선 비운의 왕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위, 조사위 등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단으로 사용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위, 조사위, 환자군노, 여인위 등 총 266명의 위패를 모신 곳 청령포 / 단종의 유배지 세 번째 방문이지만 눈이 쌓인 청령포의 모습은 색달랐다 보덕사 / 장릉의 원찰 장혜진 / 너라는 계절은 화양연화, 삶이 꽃이 되는 순간 OST 2021. 1. 22.
1/14 [조선 왕릉 탐방, 영릉(英陵) & 영릉(寧陵) ⑪] 영릉(英陵) / 세종대왕과 비 소헌왕후의 합장릉 영릉(寧陵) /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쌍릉(동원상하릉) 세종대왕의 천문관측기기 자동으로 시보를 알려주는 장치가 되어 있는 물시계 세계 최초의 골드버그 장치를 이용 휴대용 해시계로 천평일구와 비슷하며 실제는 손바닥 크기 정도 해의 그림자를 이용하여 남쪽을 정확히 가리킴으로써 남북의 방향과 시각을 알 수 있게 만든 해시계 2002년에 복원한 일성정시의는 낮과 밤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천문시계. 1437년(세종19)에 처음 제작된 것으로 자격루의 시각교정에 사용되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전천(全天) 천문도 가운데 하나로써 하늘의 모습(天象)을 12차(12次; 동양의 별자리)와 분야(分野: 역대 왕조에 대응하는 땅의 영역)로 배열해 .. 2021. 1. 15.
1/5 [조선 왕릉 탐방, 연산군묘~정릉 (북한산둘레길 18~20구간) ⑩] 연산군묘를 찾기 위해 다시 찾은 북한산둘레길 18~20구간 춥다는 일기예보에 북한산 둘레길엔 평소보다 인적이 뜸했다 20구간의 마침표를 찍고 내친김에 정릉과 흥천사까지를 다시 돌아봤다 정의공주 정의공주는 조선 4대 국왕 세종(世宗)의 차녀로,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세종의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하였고, 『지장보살 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을 간행하였다 오빠가 문종이고 동생이 세조이다 연산군 묘 다른 묘나 원은 모두 폐쇄 중이었으나 이곳 연산군 묘만큼은 늘 개방되어 있다 연산군묘는 조선 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대군묘제로 조성하였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되어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고, 문석인 2쌍, 망주석, 장명등, 상석, 향로석을 배치하였다. 앞에.. 2021. 1. 5.
1/1 [조선 왕릉 탐방, 온릉~삼릉~장릉~소령원~검단사~보광사 ⑨] 온릉 온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첫 번째 왕비 단경왕후 신씨의 능으로 단릉의 형식이다. 1739년(영조 15)에 단경왕후가 복위되면서 조선 후기의 추존왕비릉 제도로 새롭게 조성하였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능침은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였고, 문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 1쌍과 석호 1쌍을 배치하였다. 중종의 폐비 신씨가 1557년(명종 12)에 세상을 떠나자 친정집안인 거창 신씨의 묘역에 묘를 조성하였다.이후 1739년(영조 15)에 복위되어 능호를 온릉(溫陵)이라 하고 정릉(貞陵)과 사릉(思陵)의 예에 따라 새롭게 조성하였다. 파주 삼릉 / 공릉, 순릉, 영릉 공릉은 조선 8대 예종의 첫 번째 왕비 장순왕후 한씨의 단릉.. 2021. 1. 2.
5th 버킷 리스트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 탐방] 매년 새해가 다가올 즈음이면 계획이나 소망을 생각하곤 했지만 그 내용이 전년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음을 깨닫고부터는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그럼에도 2021년 새해엔 나름의 계획을 세워보고자 한다 100대 명산과 섬 100곳에 이어 조선 왕릉 탐방과 108산사 순례에 이어  나 자신 또 하나의 버킷리스트...    년도구분유산내용비고유형문화재1995유적지석굴암  불국사  불경판해인사 장경판전합천 해인사해인사 말사1997궁종묘종묘제례, 5월 첫 주 일요일 창덕궁 & 후원  수원화성  2000경주남산지구용장사곡 석불좌상  칠불암 마애석불  불곡 석불좌상  탑곡 마애조상군  용장사곡 삼층석탑  천룡사지 삼층석탑  남산리 삼층석탑  경주월성지구계림  월성  첨성대  내물왕릉  경주대릉원지구미추왕릉  황남리 고분군.. 2020. 12. 30.
12/26 [조선 왕릉 탐방, 홍유릉 & 흥선대원군묘 외 ⑧] 홍유릉은 기존의 왕릉과 달리 대한제국의 황제릉이기에 기존 왕릉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또한 홍릉과 유릉 모두 일제치하에서 조성된 능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를 보인다 홍릉은 우리나라 사람의 주도하에(석물 포함) 만들었지만 유릉은 일본인의 주도하에(석공 포함) 만들어졌다고 한다 즉 유릉은 조선백성을 달래기 위해 일제가 마지못해 만들다 보니 기존의 전통을 모두 무시하고 만들었지 싶다 홍유릉의 특징 1. 능 출입문이 삼문의 형태를 보인다 세 칸 중 가운데 칸은 어칸이라 하여 혼이 다니는 문으로 사람이 쓰지 않고 ‘동입서출’이라 하여 제사를 올리는 사람들은 동쪽으로 들어가고 서쪽으로 나온다 2. 다른 왕릉엔 소나무, 참나무, 전나무 등의 침엽수가 많지만 홍유릉엔 독일가문비나무가 많다 현재 독일가문비나무를 대신.. 2020. 12. 27.
12/24 [조선 왕릉 탐방, 광릉 & 사릉 및 남양주 일대 묘 ⑦] 남양주 일대엔 능 뿐아니라 꽤 많은 원과 묘가 산재해 있었다 동구릉까지를 포함하면 하루로는 모자랄 듯해 미리 다녀왔지만 그럼에도 해가 짧아 시간이 여의치 않았다 예전엔 보지 못했던 광릉수목원 가로수길 주변에 놓인 데크길을 보면서 신록이 우거진 계절에 다시 와야겠다 생각했다 기억과는 사뭇 다른 봉선사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20여년 전 초파일엔 차량과 인파에 치여 제대로 볼 수 없었지만 오늘은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덕흥대원군묘 중종(中宗)의 일곱째 아들로, 중종의 후궁인 창빈안씨(昌嬪安氏)의 소생이고, 부인은 중추부판사(中樞府判事) 정세호(鄭世虎)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 6월 명종이 후사(後嗣) 없이 죽자 초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균(鈞)이 명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는데, 그가 곧 선조.. 2020. 12. 25.
12/20 [조선 왕릉 탐방, 헌인릉 & 융건릉 & 용주사 ⑥] 예전 소풍을 왔을 때와 비교하니 헌인릉은 그 규모가 많이 축소되었다 주차장과 더불어 주변에 많은 건물이 들어서면서 축소된 듯 재실 또한 능과 구분되어 도로변에 따로 떨어져 있다 융건릉은 제법 규모가 컸으며 산책길 또한 걸을 만했다 인근에 위치한 원찰인 용주사까지를 둘러보았다 헌인릉 인릉 / 조선 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김 씨의 능 헌릉 /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 민 씨의 능 융건릉 융릉 /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홍 씨의 능으로 합장릉 건릉 / 조선 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김 씨의 능(합장릉) 용주사 / 융건릉의 원찰 조선 건축물의 구분 궐 궁 전 당 합 각 루 재 정 (궁궐의 구조와 용도 거주자 직급에 따라 구분) 궐(闕)은 임금이 거주하면서 근무하는 건물 전체를 지칭 궁(宮)은.. 2020. 12. 21.
12/15 [조선 왕릉 탐방, 장릉→행주산성→서삼릉→공양왕릉→서오릉 ⑤] 오늘은 김포의 장릉과 고양시의 서삼릉과 서오릉을 탐방했다 가는 길목에 위치한 행주산성도 오랜만에 찾아봤고 서삼릉 인근에 위치한 공양왕릉을 찾아 고려의 왕릉과 조선의 왕릉이 어떻게 다른지도 확인했다 같은 조상인데 어째 고려 왕릉은 모양새나 관리 등에 있어 조선 왕릉에 비해 허술한지 의아했다 서오릉에서 특히나 홍릉은 양지가 아닌 음지에 조성되어 눈 쌓인 봉분이 너무도 춥게 느껴졌다 우스갯소리로 영조의 조강지처인 정성왕후가 죽자 66세의 나이에 15세의 정순왕후를 맞아들이며 어린 왕후에게 빠져 능 조성에 소흘한 게 아니냐 했다 김포 장릉 / 추존된 원종과 인헌왕후 구 씨의 능 행주산성 서삼릉 / 희릉, 효릉, 예릉 소경원昭慶園(소현세자) / 16대 인조의 첫째 아들인 소현세자의 원 의령원懿寧園(의소세손) / .. 2020. 12. 15.
12/13 [조선 왕릉 탐방, 의릉~태릉~강릉~노원불빛정원~동구릉 ④] 새벽부터 많은 눈 예보가 있어 나름 멋진 설경을 볼 수 있겠단 기대와 함께 휴일 도로 정체가 염려되었다 나름 안전운전과 교통체증을 피하기 위해 김포 장릉과 고양시의 서삼릉, 서오릉 코스를 동구릉 코스로 변경했다 이름에서 묻어나듯 동구릉은 동쪽에 위치한 아홉 개의 능을 말한다 조선 왕릉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동구릉은 한 바퀴 돌려면 시간도 제법 걸릴 듯해 따로 잡았다 구리에 위치해 있기에 설경을 보기 위해 가는 길목에 위치한 숭인원과 영휘원을 포함해 태릉, 강릉, 의릉까지 다시 한 번 돌아보기로 했다 코로나 19의 창궐과 함께 대설주의보가 내린 상황이라 도로는 생각보다 한산했고 눈 덮인 주변의 풍경은 볼 만했다 탐방객도 없는 듯 발자국도 안 보이는 새하얀 길에 발자국을 만들며 걷는 뽀드득 소리에 기분은.. 2020.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