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산사 평화순례, 광덕산 광덕사]
광덕사는 백제시대의 사찰로 추정된다 신라 자장 율사가 수행을 마치고 당에서 귀국할 때 진신 사리 10과, 법의, 화엄경, 불치(佛齒) 등을 가져와 광덕사에 전해 주었다 그후 832년 진산 화상이 중창하였다 광덕사의 초창기 모습은 금당 9, 종루 8, 범각 2층, 법전 3층, 동남방에 천불전, 그 옆에 만장각 80여 칸, 동에는 은수암 수월암, 서에는 문수대 아래 한산사, 북에는 환희암, 대상(臺上)에는 보현암, 영선암, 금선암, 사자암, 하선암, 선정암, 봉두암, 영수암 등 89개의 암자가 있어 충청도와 경기도 일대 가장 큰 사찰로 총 본사였다고 한다 그 후 1334년 다시 중창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1598년 승려 희묵이 법당을 복원, 1665년 석심 화상이 불상을 재조하였다 18..
2021.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