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03

마음의 빈 자리 <한수산의- '단순하게 조금 느리게' 中에서> 어느 날 불쑥 찾아온 친구에게 묻습니다. "어떻게 왔니?" 그 친구가 대답합니다. "그냥 왔어." 전화도 마찬가집니다. 불쑥 전화를 한 친구가 말합니다. "그냥 걸었어." 그냥. 그렇습니다. 우리에게는 '그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원인은 있지.. 2008. 11. 3.
마음이 변하니 ... 마음이 변하니 세상이 변하더라 마음을 변하게 하는 것은 논리가 아니라 또 다른 마음이였다 이래저래 심신이 무척 힘든 요즘이다 '江山招待所'에서의 작은 깨달음... 경북 안동의 '聾巖宗宅' 에선 화장실을 '江山招待所'란 해학적 표현을 빌려 쓴다 DdooSiKkoongYa 2008. 11. 2.
그리운 금강산 - 한상억 詩, 최영섭 曲 그리운 금강산 한상억 詩, 최영섭 曲 누구의 주제런가 맑고 고운산 그리운 만이천봉 말은 없어도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여미며 그이름 다시부를 우리 금강산 수수만년 아름다운 산 못가본지 몇몇해 오늘에야 찾을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비로봉 그 봉우리 짓밟힌 자리 흰구름 솔바람도 무심히 가나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우리 다 맺힌 원한 풀릴때까지 수수만년 아름다운 산 더럽힌지 몇몇해 오늘에야 찾을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노래 : 연광철, 홍혜경, 플라시도 도밍고 가사의 와전된 내용 및 개사 내역 가사중 주제런가는 원래 주재(主宰)로 작사를 했는데 그당시 인쇄를 잘못하여 지금까지 주제런가로 불리어 지고있다 한다. 작곡자 최영섭의 설명은 작사자 한상억은 원래 "관장하다, 주장하여"라는 뜻의 주재(主宰)>라고 썼.. 2008. 11. 2.
자살을 생각하는 아이들 오늘은 좀 꿀꿀한 기분이 든다 중학교 수학선생인 집사람에게 그젯 저녁 한 통의 전화가 왔다 한 학생이 자살을 했다는 것이다 평생 한 번 겪을까 말까한 일을 올들어서만 벌써 두 번째다 어제 수업을 마치고 몇 몇 선생님들이 병원엘 다녀온 모양이다 집사람고 마주치자 꼬옥 껴 안아달라며 하는 말.. 2008. 11. 1.
만다라트(Mandal-Art)를 통한 아이디어 창출 만다라트(Mandal-Art)는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 그 툴을 의미한다. 일본의 디자이너 이마이즈미 히로아키(今泉浩晃)가 개발한 발상기법으로 manda+la+art가 결합된 용어인데, manda+la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뜻이고 mandal+art는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 그 툴을 의미한다. 만다라트를 통해 기획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과정 1. '정사각형 9개로 이루어진 표(만다라트)'를 그린다..(그림참조) 2. 가운데 칸에 핵심주제를 써넣고 나머지 8칸에 생각을 채워 넣는다 책에 나온 쉬운 예로, 머그잔을 주제로 잡고, 기획의 단서가 될 것을 빈칸에 적는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서는 '손잡이', '컬러링', '마시는 부분 얇게', '귀여운 그림' 등과 같이 나머지 8칸을 의무적으로 채워야 한다.. 2008. 11. 1.
사리가 바른 청년 '손병희' 선생님 ▲ 탑골공원에 위치한 의암 '손병희' 동상 청주에 사는 이제 갓 20살이 된 청년 하나가 우연히 장터에 갔다가 돈이 두둑이 든 지갑 하나를 주웠다. 장터는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어서 누가 그 지갑을 잃어버렸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었다. 청년은 주인에게 지갑을 찾아주고 싶었으나 달리 방법이 없었.. 2008. 11. 1.
유리창과 거울 가난한 농부가 그 마을에서 학식과 덕망이 높기로 소문이 나있는 선비를 찾아갔다. "선비님, 부탁이 있어서 찾아 왔습니다. 선비님의 지혜와 덕으로 제 어려움을 해결해 주십시오. 제게는 오랫동안 사귀어온 절친한 친구가 한 사람 있습니다. 같은 마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함께 먹.. 2008. 11. 1.
오늘 하루만은... 그날 일어날 일을 걱정하며 출근할 때는 한번쯤 걸음을 멈추어 보라. 그날 하루만이라도 아주 다른 방식으로 지내보도록 하라. 다음과 같이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해 보라. 그러면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한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오늘 하루만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최대한 친.. 2008. 11. 1.
부지런을 떨며 살아야 하는 이유 최근 어린 아이를 모델로 삼은 CF가 눈에 띈다 인생 80중 자는 시간, 먹는 시간 등 등을 빼고 웃는 시간은 고작 20여일 이라한다 80년 중 고작 480시간 뿐이다 인간으로 태어난 것에 긍지를 느끼는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인간답게 살기위해 교육을 받았다.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18세를 .. 2008. 10. 31.
동아시아의 정원 아시아의 정원을 형성한 미학을 비교하시길...... 한국의 정원 중국의 정원 비원 소쇄원 선암사 달마전 뜰 일본의 정원 졸정원 유원 계리궁 수학원이궁 용안사 [출처: ATA] DdooSiKkoongYa 2008. 10. 31.
한국의 전통마을 한국의 전통마을을 어떻게 생각하고 계신지요? 아래에 있는 마을들로 들어가서 유심히 살펴보시면, 그 안에 생각(사상)이 담겨 있으며, 사람 사이의 관계가 응축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을에는 문화가 있고, 환경생태학의 지혜도 담겨 있음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다시 찾는 전통마을에서 우리는 어느 샌가 잃어버린 공동체를 위한 터전을 다시금 꿈꾸게 됩니다. 우리 마을 소개 (강릉MBC 라디오 2006.10.31) 도래마을 방촌마을 효동마을 서울 북촌(가회동) 충청도 상사마을 외암마을 경상도 남사마을 닭실마을 바래미 (해저) 마을 보삼마을 양동마을 옻골마을 원터마을 하회마을 한개마을 황전마을 전라도 강골마을 금곡마을 낙안읍성 강원도 왕곡마을 제주도 성읍마을 [출처 : ATA] 2008. 10. 31.
홍미숙의 <마중나온 행복> 中에서 빨간 신호등에 걸렸다고 짜증낼 일만도 아니다. 분명 기다리면 파란불은 다시 들어올 것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가는 길마다 파란불이 켜지기를 바라겠는가. 항상 파란 불이기만 바라서도 안 된다. 파란불이 켜지면 켜지는 대로, 빨간불이 켜지면 켜지는 대로 순응할 줄도 알아야 한다. - 홍미숙의 &lt;.. 2008. 10. 31.
한 순간도 헛되이 살 수 없는 까닭 아소카 대왕은 인도를 최초로 통일시킨 사람이다. 그런데 그에게는 방탕한 동생이 하나 있었다. 어느 날 동생이 국법을 어기자 왕은 동생에게 말하였다. "일주일 뒤에 너를 사형시키겠다. 그러나 특별히 너를 불쌍히 여겨 일주일 동안만이라도 왕처럼 즐길 수 있도록 배려를 하겠노라.” .. 2008. 10. 31.
외국인들은 '눈치'를 모른다 ?? 오래전 기네스기록에 도전하는 사람들이란 방송 프로그램의 Dialogue를 번역한 적이 있다 어느 방송을 탔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매우 초라한 영어실력으로 번역했기에 보고있으면 더 초라해질 듯 싶어 보지않았다 그런데 기네스기록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매우 궁금해 하던 차라 재.. 2008. 10. 31.
신영복님의 '나무야 나무야' 중에서 나와 같이 징역살이를 한 노인 목수 한 분이 있었습니다. 언젠가 그 노인이 내게 무얼 설명하면서 땅바닥에 집을 그렸습니다. 그 그림에서 내가 받은 충격은 잊을 수 없습니다. 집을 그리는 순서가 판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지붕부터 그리는 우리들의 순서와는 거꾸로였습니다. 먼저 주춧돌을 그린 다.. 2008. 10. 30.